장은영 전남도의원, 길을 잃은 중장년에게 사회적 울타리를 만들어줘야
검색 입력폼
 
전라남도

장은영 전남도의원, 길을 잃은 중장년에게 사회적 울타리를 만들어줘야

청년·저소득층·노년층에 밀린 중장년층...생애주기별 맞춤형 관리 정책 필요

장은영 의원이 제377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킹]전라남도의회 장은영 의원(더불어민주당)은 2월 1일에 열린 제377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길을 잃은 중장년을 위해 빠르게 기반이 마련될 수 있도록 지난해 5월에 이어 다시 사각지대에 놓인 전남의 중·장년을 위한 제도 마련의 시급성을 알렸다.

벌써 내년으로 성큼 다가온 2025년은 대한민국의 만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전체 인구의 20%를 넘는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있지만 사실 이미 전라남도는 2016년부터 초고령사회에 진입했으며, 특히 장 의원이 거주하고 있는 영광군의 경우 만 65세 이상이 31%가 넘는 등 초고령 인구가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장 의원은 “중장년은 전남 인구 약 180만 명 중 70만 명이 넘고, 전체 가구에서 중장년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며 “중장년이 맞이할 긴 노년기를 성공적으로 보낼 수 있게끔 선제적인 지원정책을 마련하는 것은 추후 초고령화의 대응책으로서 매우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이어 “몸이 아파 집안일을 부탁해야 할 경우, 혹은 갑자기 큰돈을 빌려야 할 경우, 또한 낙심하거나 우울해서 이야기 상대가 필요한 경우에 도움을 받지 못하는 ‘사회적 지지체계’가 없는 중장년들이 노년층보다 훨씬 더 높은 비율을 보이며 사회적 고립도가 증가하고 있다”며 “중장년들이 사람들과 교류하고 협업을 통해 새로운 인생 전환을 모색할 수 있도록 포괄적이고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장 의원은 “중장년의 경우 청년과 저소득층, 그리고 노년층에 밀려 사회적 울타리를 세우지 못한 채 사회적 고립감을 안고 외롭고 쓸쓸하게 생을 이겨내고 있다”며 “어느 기사의 ‘오늘이 가장 젊은 대한민국’이라는 제목처럼 전라남도는 더 늦기 전에 어느 한 세대가 빠지지 않는, 전 생애주기별 관리 정책 마련을 위해 중장년을 전담할 독립된 과나 팀을 신설하는 등 기반 마련에 세밀히 검토해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장 의원은 지난해 5월 제371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도 중장년 지원과 관련하여 실질적 기반 마련을 촉구한 바 있으며, 이번 자유발언 역시 중장년 지원책 마련과 관련해서 전라남도가 책임과 관심을 가질 수 있길 당부하며 앞으로도 중장년이 지역에 마음 편히 뿌리내리고 살 수 있도록 힘쓸 예정이다.
최준규 기자 cjunk2@kakao.com

오늘의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