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시의회 김재형 의원 |
‘공공체육시설’이란 국민의 건전한 체육활동을 장려하기 위해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으로 건설 · 운영 · 관리되는 체육시설이다. 현재 세종시 관내에는 177개 공공체육시설이 분포해 있으며 시설관리사업소, 읍·면·동, 민간, 시설관리공단 등으로 관리 · 운영 주체가 나뉘어져 있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움츠러들었던 체육활동이 다시 활기를 되찾으면서, 인근 공공체육시설을 찾는 시민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스포츠클럽 활성화 및 고도화되는 체육환경에 대응하기 위해서라도 공공체육시설 관리 운영 방안에 대해 제고해볼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김재형 의원은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공공체육시설 운영·관리를 위해 체육 전문성과 인프라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며, 세종시 체육회 · 장애인체육회 · 민간 스포츠 전문기관이 주체적으로 시설을 관리·운영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김 의원은 “현재 시설마다 관리주체가 제각각이다 보니 시민들이 이용할 때 혼란스러운 상황이다. 체계적인 시설 운영 관리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며 대응 방안으로 ‘체육 전문성 활용’을 강조했다.
특히, “세종시체육회 및 장애인체육회의 경우 종목단체, 생활체육지도자 등 체육전문가들로 구성된 단체로서 체육 분야 전문성을 활용한 프로그램 운영과 함께 효율적인 체육시설 운영 관리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어 “체육 전문성을 활용하여 시설을 관리, 운영할 때 이용자에게 최적화된 공공체육시설 관리 운영이 가능하다”고 전했다.
“현재 세종시체육회와 장애인체육회에서 공공체육시설을 확보하지 못하다 보니 생활체육지도자 수업 및 프로그램 운영, 그리고 관내 선수 훈련이 필요할 때마다 각각 운영 기관에 대관 요청을 해야 하는 상황이다. 시설 활용도나 효율성이 매우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라며, 체육 전문가들이 체육시설 관리 운영 주체로 안정화된다면, 프로그램 운영 및 효과적인 훈련 장소 이용으로 공공체육시설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언했다.
또한, 체계화, 고도화되어 가는 체육 산업에 대응하기 위해 민간 스포츠 전문기관이 공공체육시설을 관리 운영하는 방안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공공체육시설은 시설의 설치 자체로만 역할을 다한 것이 아니라 시민들의 적극적 활용을 도모하여 체육 수요 충족에 이바지하도록 운영되어야 한다. 이를 뒷받침할 수 있도록 시설운영체제가 고도화됐을 때 그 목적에 달성했다고 볼 수 있다”며 세종시가 효과적인 공공체육시설 관리 운영 방안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달라고 당부하며 발언을 마무리했다.
최준규 기자 cjunk2@kaka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