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파트 화재 피난안전대책 홍보물 |
아파트는 거주와 관리의 편리성이 높은 주거 형태로 국민 대다수가 거주하고 있다. 하지만 거주지가 밀집돼 있는 구조적 특성상 화재의 위험성이 높을 뿐 아니라 화재 발생 시 대피 과정에서 연기 흡입 등으로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그동안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가 발생한 지점에서 멀리 떨어진 지상 및 옥상으로 대피할 것을 강조했지만, 최근 아파트 화재는 연기뿐 아니라 대피 과정에서 2차 피해가 발생하여 화재 발생 장소 및 대피 여건에 따른 대피 행동요령을 알고 있어야 한다.
먼저 자택에서 화재가 발생하거나 집으로 화재가 확대된 경우 △ 현관을 통해 대피할 수 있다면 ▲ 코와 입을 가리고 ▲ 엘리베이터가 아닌 계단을 통해 낮은 자세로 대피하고 △ 대피가 어려운 경우 ▲ 세대 내 대피 공간이나 경량칸막이 등이 설치된 곳으로 이동하는 게 안전하다.
다른 세대에서 화재가 발생해 자택으로 화재가 확대되지 않았다면 ▲ 세대 내에서 대기하며 화재 상황을 살피고 ▲ 연기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창문과 현관을 닫고 ▲ 119에 구조요청을 하는 것이 안전하다.
강기원 소방서장은 “실내에 연기가 들어오지 않을 경우 대피보다는 실내에 대기하며 안내방송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 더 안전할 수 있다”라며 “새롭게 마련된 아파트 화재 피난안전대책을 적극적으로 홍보해 인명피해를 저감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최준규 기자 cjunk2@kaka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