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린이 교통카드 등록 방법 |
어린이가 무료로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교통카드를 이용해야 하며, 현금으로 탑승할 경우 종전대로 요금을 지불해야 한다.
현금 이용 시 시내버스는 400원, 도시철도 1구간 700원, 2구간 800원, 마을버스는 300원이다.
올해 시역내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1학년 어린이는 2만1천9백1명으로, 어린이들의 대중교통 이용 생활화를 위해 초록우산 부산지역본부를 통해 부기 디자인의 교통카드를 배포한다.
시 교통카드 운영사인 ㈜마이비는 교통카드 2만 장을 자체 제작해 초록우산 부산지역본부에 기부했다.
어린이가 대중교통을 즐겁게 이용할 수 있도록 시 홍보 캐릭터인 '부기'를 교통카드 디자인에 활용했다.
본부는 각 초등학교의 신청을 받아 신청 학교에 한해 오는 3월 교통카드를 무료로 배포할 예정이다.
배부받은 교통카드는 가까운 편의점이나 스마트폰 앱(이즐충전소)에서 생년월일을 등록한 후 사용할 수 있다.
지원을 희망하는 초등학교는 온라인을 통해 신청할 수 있으며, 신청 기한은 카드 소진 시까지다.
한편, 시는 지난해 10월 6일 '어린이 요금 전면 무료화'를 시행한 이후 어린이 대중교통 통행량이 58퍼센트(%) 증가했다고 밝혔다.
올해 1월 어린이 대중교통 통행량은 96만4천 통행으로 전년 동월 대비 58퍼센트(%)로 큰 폭으로 증가했다.
수단별로는 시내버스 54퍼센트(%), 마을버스 54퍼센트(%), 도시철도는 77퍼센트(%)가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전체 대중교통 통행량은 9퍼센트(%) 증가했다.
이는 시가 대중교통 수송분담률 향상을 위해 '부산형 대중교통 혁신방안('23.3월)'의 일환으로 시행한 '어린이요금 무료화'가 효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정임수 시 교통국장은 “이번 어린이 교통카드 무료 배부를 통해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어린이들이 즐거운 마음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라며, “자라나는 세대가 더욱 친근하게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가정과 학교에서는 어린이의 대중교통 이용 습관 형성과 교육에 힘써 주실 것을 당부드린다”라고 전했다.
최준규 기자 cjunk2@kakao.com















